
break문 반복문인 while 문 또는 for 문에서 break 문을 실행하면 조건식과 상관없이 강제로 반복문을 종료합니다. 즉, break 문은 반복문을 강제로 종료할 때 사용합니다. 다음은 for문과 while 문에서 break 문이 사용된 기본형입니다. break 문이 코드보다 앞에 있으므로 코드는 실행되지 않고 for 문과 while 문이 바로 종료됩니다. for(초깃갑; 조건식; 증감식){ break; // 반복문을 강제로 종료합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 } var 변수 = 초깃값; while(조건식){ break; // 반복문을 강제로 종료합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 증감식; } 다음은 for 문을 이용하여 1부터 10까지 반복하도록 작성한 예제입니다. 그리고 break 문을 사용하여 변수 ..

const cssProperty = [ {view: "10", name: "all", desc: "all 속성은 CSS 속성을 재설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약식 속성입니다."}, {view: "20", name: "animation", desc: "animation 속성은 애니메이션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약식 속성입니다."}, {view: "13", name: "animation-delay", desc: "animation-delay 속성은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view: "19", name: "animation-direction", desc: "animation-direction 속성은 애니메이션이 움직이는 방향을 설정합니다."}, {view: "24", name: "ani..

색상 이름으로 표현 색상 이름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W3C에서 정의한 16개의 HTML4 표준 색상 이름은 다음과 같다. aqua black blue fuchsia gray green lime maroon navy olive purple red silver teal white yellow RGB 색상값으로 표현 모니터나 스크린은 빨간색(Red), 녹색(Green), 파란색(Blue)을 혼합하여 색을 표현한다. 따라서 HTML에서도 이 세 가지 색을 가지고 색을 표현하는 RGB 색상을 사용한다. 16진수 색상값으로 표현 16진수 색상값은 RGB 색상값을 각각 16진수로 변환한 것이다. 따라서 RGB 색상의 기본색(Red, Green, Blue)은 각각 00부터 FF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const cssProperty = [ {name: "all", desc: "all 속성은 CSS 속성을 재설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약식 속성입니다."}, {name: "animation", desc: "animation 속성은 애니메이션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약식 속성입니다."}, {name: "animation-delay", desc: "animation-delay 속성은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name: "animation-direction", desc: "animation-direction 속성은 애니메이션이 움직이는 방향을 설정합니다."}, {name: "animation-duration", desc: "animation-duration 속성은 애니메이션이 움직이는 ..

const searchBox = document.querySelectorAll(".search span"); // 알파벳 버튼들 const css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list ul li"); // 속성 리스트 const cssCount = document.querySelector(".count em"); // 속성 갯수 const reset = document.querySelector(".search .reset")// 리셋(all) 버튼 // 모든 데이터 보이기 cssList.forEach((ele, index) => { ele.classList.add("show"); cssCount.innerHTML = index + 1; }); // 버튼을 클릭하면 클릭한 ..

const searchBox = document.querySelector("#search-box");// searchBox 변수에 저장 const css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list ul li");// 다수의 li를 cssList에 저장 const cssCount = document.querySelector(".count em");// em을 cssCount에 저장 cssList.forEach((element, index) => {// cssList의 각각 요소값에 적용 element.classList.add("show");// 각각의 요소의 클래스 show 추가 cssCount.innerHTML = index + 1;// cssCount 에 인덱스값 + 1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