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SS

[CSS] 마진(Margin)

Gentlemanjs 2022. 2. 15. 17:56

마진(Margin)

margin 속성은 테두리(border)와 이웃하는 요소 사이의 간격인 마진 영역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이러한 마진 영역은 패딩 영역과는 달리 background-color 속성으로 설정하는 배경색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CSS를 사용하면 마진 영역의 크기를 방향별로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마진(margin) 속성

CSS에서는 HTML 요소의 마진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속성을 제공합니다.


1. margin-top

2. margin-right

3. margin-bottom

4. margin-left

 

margin 속성값을 음수로 설정하여 해당 요소를 다른 요소의 위에 겹치게 할 수도 있습니다.

<style>

div.mar {
    margin-top: -25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30px;
    margin-left: 100px;
}

</style>

margin 속성값을 inherit로 설정하면, 부모(parent) 요소의 margin 속성값을 그대로 물려받습니다.

예제
<style>

div.parent { 
	height: 100px; margin-left: 100px; 
}
div.child { 
    background-color: #FFF8DC; margin-left: inherit; 
}

</style>

 

 


마진 축약 표현(margin shorthand)

모든 margin 속성을 이용한 스타일을 한 줄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제
<style>

div.four { 
	margin: 20px 50px 30px 50px; 
}
div.three { 
    margin: 20px 50px 30px; 
}

</style>

 

4개의 margin 속성값을 가질 때는 top, right, bottom, left 순으로 설정합니다.

ex) margin: 10px 20px 30px 40px;

(위의 예제는 아래 4줄의 코드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margin-top: 10px;

margin-right: 20px;

margin-bottom: 30px;

margin-left: 40px;

 

3개의 margin 속성값을 가질 때는 top, right와 left, bottom 순으로 설정합니다.

ex) margin: 10px 20px 30px;

(위의 예제는 아래 4줄의 코드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margin-top: 10px;

margin-right: 20px;

margin-bottom: 30px;

margin-left: 20px;

 

2개의 margin 속성값을 가질 때는 top과 bottom, right와 left 순으로 설정합니다.

ex) margin: 10px 20px;

(위의 예제는 아래 4줄의 코드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margin-top: 10px;

margin-right: 2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20px;

 

1개의 margin 속성값을 가질 때는 모든 마진값을 같게 설정합니다.

ex) margin: 10px;

(위의 예제는 아래 4줄의 코드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margin 속성값에 auto를 사용하는 이유

margin 속성값을 auto로 설정하면, 웹 브라우저가 수평 방향 마진(margin) 값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즉, 해당 HTML 요소의 왼쪽과 오른쪽 마진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됩니다.

그 결과 해당 요소는 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부모(parent) 요소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됩니다.

예제
<style>

div {
    border: 2px solid teal;
    width: 300px;
    margin: auto;
}

</style>

 


CSS margin 속성

속성설명

margin 모든 margin 속성을 이용한 스타일을 한 줄에 설정할 수 있음.
margin-top 윗쪽의 마진(margin) 값을 설정함.
margin-right 오른쪽의 마진(margin) 값을 설정함.
margin-bottom 아래쪽의 마진(margin) 값을 설정함.
margin-left 왼쪽의 마진(margin) 값을 설정함.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밑줄효과  (0) 2022.04.14
[CSS] 한줄 효과  (0) 2022.04.14
[CSS] 패딩(padding)  (0) 2022.02.15
[CSS] CSS 색상 표현  (0) 2022.02.08
[CSS] CSS 단위  (0) 2022.02.05
댓글
© 2018 webstoryboy